반응형

IT 및 기술 64

2016.12.15. 디스플레이 산업동향

디스플레이 국가 R&D에 거는 기대- 2017년 Display&반도체 R&D 409억 확정(YOY 180억 상승)- 2017년~2021년(5년)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사업 추진, 300억- 2017년 중점과제: 플렉서블, 스트레처블 h1ttp://www.etnews.com/20161214000288 디스플레이 슬리밍 업계도 OLED 뜨고 LCD 지고 - 현재 OLED 슬리밍 업계 활발, LCD 패널 슬리밍 업계는 생산라인 가동 중지 -. 켐트로닉스 @ OLED 패널 코팅장비 1대를 추가 설치(4개 → 5개) 약 20% 생산 능력 향상(식각 후 코팅 프로세스 병목현상 해소) @ 2016년 상반기 LCD 식각라인 1개 → OLED 식각라인 전환 (OLED 4개, LCD 2개), LCD 2개도 전환승인..

[battery] 고채 전해질 배터리

​ (단위 : %) 특허청 제공 "폭발 위험없는 '고체 전해질 배터리 주목' " - 특허현황 -. 도요타 10.9% (24건) -. 히타치 4.6% (10건) -. 소니 3.7% (8건) -. 무라타 3.2% (7건) 일본 기업 총 60.7% (133건) 점유 중 -. LG화학 3.2% (7건) -. EMW에너지 3.0% (5건) - 분류 -. 안정성은 낮지만 낮은 이온전도도&고온 열처리 공정시간이 긴 산화물계 소쟈 30.6% (67건) -. 이온 전도도는 높지만 수분과 산소에 취약한 황화물계 소재 20.1% (44건) -. 리튬 폴리머 전지로 성능 향상을 위한 고분자계 소재 14.2% (31건) -. 결정화 유리 상태를 얻을 수 있어 이온 전도성이 가능한 인산염계 소재 7.8% (17..

IT 및 기술 2016.10.19

삼성전자, 업계최초 10나노 로직 공정 양산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10나노 로직 공정 양산을 시작하며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최첨단 공정 리더십을 확보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월 모바일 AP에서 업계 최초로 14나노 공정 양산을 시작한 데 이어, 이번에는 전체 시스템 반도체 업계에서 가장 먼저 10나노 공정 양산에 돌입했다. 이번에 양산을 시작한 10나노 1세대 공정은 기존 14나노 1세대 대비 성능은 27% 개선하고, 소비전력은 40%를 절감했으며 웨이퍼당 칩 생산량은 약 30% 향상됐다. (이하 생략) 출처 : https://news.samsung.com/kr/%EC%82%BC%EC%84%B1%EC%A0%84%EC%9E%90-%EC%97%85%EA%B3%84%EC%B5%9C%EC%B4%88-10%EB%82%98%EB%85%B8-%EB%A1%..

IT 및 기술 2016.10.17
반응형